초계함 사건??
필자의 눈에는 어설프게 짜여진 싸구려 연극 속 3류 배우의 행태로 보이는 이 일련의 과정이 어떻게 <한겨레>의 오늘자 칼럼에서는 '냉철하게 중심을 잡는 것'으로 보였을까. 만일 이 중대 사안을 놓고 북한 연계설에 대해 사전에 국방부장관과 MB가 충분한 사전 논의가 없었다면 그들은 직무유기를 한 것이고, 충분한 논의를 했음에도 국방부장관이 혼자 '북한 연계설'을 흘렸다면 이는 대통령에 대한 항명이 아닌가. 직접 메모는 또 뭔가. 청와대 그 많은 참모들은 무엇을 하고 있기에 대통령이 직접 메모를 써서 전달하는 '기이한 일'을 벌여야 하는가.
초계함과 함께 빠져 버린 'MB 악재'들은 또 어쩔 것인가. 김우룡 전 방문진 이사장이 슬그머니 출국함으로써 MBC 장악에 대한 문제 제기에 김이 새 버렸다. 봉은사와 안상수 망언은 또 어디로 간 것인가. 독도 사태에 대한 MB 망언 건은 또 어디로 가버렸나. 수도권을 의식한 세종시 흔들기 문제는 어디서 잠자고 있나.
어디 그뿐인가. 공정택 비리 사건부터 한명숙 재판까지 초계함이 날려 버린 것들은 하나 같이 MB 정권에겐 치명타라 아니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4대강과 그에 대한 숱한 문제제기들 또한 초계함과 함께 서해바다에 묻혀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일부 선체 전문가들은 "사고와 동시에 해상 크레인을 불렀다면 3일 내 인양에 착수할 수 있었으며 해운항만청과 2함대사령부를 활용했다면 시기를 더 앞당길 수 있었다" "생존 한계 시간인 69시간 이내에 선체는 수면 위로 올라올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들은 "MB정권이 정치적 목적으로 이번 사건을 이용하려다 애꿎은 젊은 생명들만 희생된 것"이라며 안타까워 하고 있다.
심지어 오늘(6일) 이명박 대통령은 "교육 비리를 교육감 선거 탓'으로 돌리는 듯한 망언을 서슴지 않았다. MB의 횡설수설은 계속되고 있다. 이번 사건은 MB 리더십 운운하며 평론하고 있을 사건이 아니다. 이번 사태는 MB 정권의 위기 대응 능력 부재와 정치적 꼼수로 국가가 위기에 빠진 사건이다.